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null 억제 연산자
- 주말도 한다
- rdbms nosql 차이
- sqld 시험 정리
- 빅분기 1유형
- 빅분기
- 작업 1유형
- FLUTTER
- 작업 2유형
- 주말에도 1일 1쿼리
- MySQL
- SQL
- null check 연산자
- 빅분기 필기
- 빅분기 판다스 100제
- 오늘은 1일 2쿼리
- 컴포지션과 집합
- null safety
- 빅분기 필기 pdf
- 빅분기 캐글놀이터
- 1일 1쿼리
- my_sql
- 모델 학습 및 예측
- late 키워드
- ?. ?? ! late
- flutter 믹스인
- 주말도 식지않아
- 앱개발 가보자고
- 빅데이터 분석기사
- mysql mongo 성능 비교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61)
subindev 님의 블로그

Stack 위젯 Stack 위젯은 Flutter에서 여러 자식 위젯을 겹치게 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컨테이너 위젯입니다 Stack 내의 모든 자식은 오버레이 구조로 배열되어, 리스트의 앞쪽에 있는 위젯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됩니다. Stack 위젯은 주로 위젯들 간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.Stack 위젯과 alignment 속성의 사용import 'package:flutter/material.dart';void main() { runApp(const MyApp());}class MyApp extends StatelessWidget { const MyApp({super.key}); @override Widget build(BuildContext context) { return ..
ListView_GridView_PageView Test CodeListView 사용법과 주요 속성ListView는 여러 항목을 세로로 나열할 때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스크롤 가능한 위젯입니다.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: 1. 일반적인 ListView 사용 (적은 데이터)children을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, 항목이 적을 때 유용합니다ListView( children: [ ListTile( leading: CircleAvatar( backgroundColor: Colors.amber, child: Text('1'), ), title: Text('item1'), subtitle: Text('item sub...'),..

Flutter의 핵심 철학과 프로젝트 구조"Everything is a Widget" — Flutter의 핵심 철학Flutter는 위젯 기반의 UI 프레임워크로, 모든 UI 요소를 위젯으로 표현합니다. 이 철학은 개발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여줍니다. Flutter에서 UI는 "선언적 프로그래밍" 방식으로 구성되며, 이 방식을 통해 최종 상태만을 선언하고, Flutter가 이를 자동으로 렌더링합니다.명령형 UI vs 선언형 UI 명령형 UI에서는 개발자가 각 UI 요소를 직접 명령하며 UI를 구성합니다. 예를 들어, ViewA와 ViewB를 선언하고, 속성을 지정하여 상태를 변경합니다.ViewA a = ViewA();ViewB b = ViewB();a.setColor(red); // 빨간색b.se..

Quiz 1) 오늘이 생일인 사람이 각 부서마다 몇명인가 ?SELECT d.dept_no AS '부서 번호', d.dept_name AS '부서 이름', COUNT(e.emp_no) AS '생일인 직원 수'FROM employees AS eJOIN dept_emp AS de ON e.emp_no = de.emp_noJOIN departments AS d ON de.dept_no = d.dept_noWHERE DATE_FORMAT(e.birth_date, '%m-%d') = DATE_FORMAT(CURDATE(), '%m-%d') AND de.to_date = '9999-01-01' -- 현재 부서인지 GROUP BY d.dept_no; DATE_FORMAT() 함수
1. 🔲 배열(Array)배열은 고정된 크기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. 인덱스를 통해 각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,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메모리 관리가 효율적입니다. 그러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고,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불편한 단점이 있습니다. 배열의 특징고정 크기: 배열을 선언할 때 크기를 미리 정해야 하며, 크기 변경이 불가능합니다.인덱스 기반 접근: 배열은 인덱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바로 접근할 수 있어, O(1) 시간 복잡도로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.연속된 메모리 공간: 배열은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캐시 효율성이 좋고,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릅니다. 📊 배열의 시간 복잡도데이터 접근: O(1)삽입/삭제 (중간에 삽입/삭제):..

🎈 1. 자료구조의 기초자료구조란 무엇인가?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는 개발자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. 각각의 자료구조에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어떤 자료구조가 최선일지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종류와 어떤 부분을 우선적으로 최적화할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다양한 자료구조의 장단점을 살펴보며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일지 판단해야 합니다.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알고리즘을 작성하고, 그에 맞는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자료구조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결코 좋은 개발자가 될 수 없습니다. 그래서 파스칼을 개발한 스위스의 컴퓨터 과학자 니클라우스 비르트는 ‘알고리즘 + 자료구조 = 프로그램’이라는 유명..